메뉴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응시자격을 알고 싶어요!

전기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1년 이상 관련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시면 전기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전기분야 경력 2년 혹은 2년제 이상 관련학과 졸업(예정)인 경우에도 응시자격을 충족합니다.

자격증을 따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전기안전관리자로 선임이 가능하며 공사업체, 시설관리업체 등 전기와 관련된 모든 직종에 취업할 때 유리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취득 후 경력을 쌓아서 전기기사에 도전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기술직 공무원에 도전한다면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전기산업기사 필기시험 합격 후 실기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을 대비한 필기 이론, 필기 특강 강의를 차근차근 수강하신 다음에 합격하셔서 실기 특강을 수강하세요!

* 필기시험을 대비하여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전기설비기술기준 다섯 과목을 공부하시게 됩니다. 컴퓨터로 시험을 보는 CBT 방식이며 4지택일형 객관식입니다. 과목당 20문항이 출제되며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 개설과정 : 전기(산업)기사 필기 이론[회로 및 제어], 전기(산업)기사 필기 이론[기기/전력-송전], 전기(산업)기사 필기 이론[전자기/설비/전력-배전, 발전], 전기(산업)기사 필기 취득

* 실기시험은 필답형이며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문제에 단답형 혹은 서술형으로 시험지에 직접 답안을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시험시간은 2시간이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 개설과정 : 전기(산업)기사 실기 취득

시험은 언제인가요?

기사.png2025년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시험 일정 (출처: Q-Net)

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날짜는
큐넷 홈페이지(www.q-net.or.kr)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