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제124회 최종 합격하신 엄ㅇ하 기술사님께서 꿀팁 가득 합격수기를 남겨주셨습니다!
평소 공부 루틴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시험뿐 아니라 공부하시는 모든 분들께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소중한 후기 너무 감사합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123회 필기 합격하고, 124회 면접에 합격한 엄*하입니다.
개인적인 공부 방법 및 여러 사항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동기
회사에서 지급되는 자격증 수당 및 전공지식 습득을 위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공부기간
2015년 10월~2016년 12월(기본반): 학원 수업만 듣고 개별 공부는 안함
2018년 2월~2021년 2월(연구반): 3년 공부 후 필기 합격
회차별 필기 점수
116회 : 33.18점
117회 : 36.58점
118회 : 49.41점
119회 : 54.83점
120회 : 48.08점
121회 : 56.41점
123회 : 60.16점
습관
1. 일주일에 평균 5일 4시간 공부(20시~24시)
2. 주말: 토요일_공부 안함 (시험 전주와 전전주에만 함) / 일요일_학원수업 외 별도 공부 안함
3. 공부하기 전에 30분에서 1시간은 무조건 잤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공부하다가 졸리고 하진 않았습니다.
4. 일주일에 2회 이상 운동은 했습니다. (5㎞ 달리기) 운동하면 몸이 힘든 것이 아니고, 집중이 더 잘 된 듯합니다.
5. 무조건 쓰면서 공부했습니다. 눈으로만 보면 시험장에서 적을 때 헷갈리는 부분이 생깁니다.
✏️필기 공부
목표: 연구반 3권의 문제를 외우자.
1. 시험을 세 번 정도 보니까, 조성환 교수님 연구반 교재에 있는 내용이 거의 출제된다고 느꼈고, 이 세 권만 제대로 외워도 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안 나올 것 같아서 스킵하고 안 봤는데, 그 문제가 시험에 나와서 합격 점수에 모자라다는 것은 2년 이상 공부해서 50점 이상이신 분들은 모두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3권 다 외우긴 힘드니, 교수님이 나눠주신 출제예상문제 200개 위주로 외웠습니다. 계속 추가하다보니 350개까지 되더라고요.
2. 교재가 바뀌어도 처음 사용했던 교재를 사용해서 공부했습니다.
조성환 교수님은 같은 문제를 설명하시더라도, 다음 번에는 무언가 다른 방식 또는 추가된 내용을 수업해주시기 때문에 한 교재에 누적해서 적으면 공부하기가 편했습니다.
3. 서브노트
서브노트는 안 만들었습니다. 제 서브노트는 조성환 교수님의 연구반 교재 3권이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시험 직전에 나눠주시는 출제예상문제 200개, 그 중에서 연구반 교재에 없는 내용만 기본반 교재 보고 작성해서 별도의 철을 만들어 외웠습니다.
4. 모의고사
2020년 1월(연구반 수강 시작 후 2년 경과 시점)부터 보기 시작했습니다. 교수님이 내주시는 모의고사 문제는 교재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제가 암기가 되었을 때까지는 보지 않았고 공부 시작 후 2년이 지나니 문제를 보고 교재 없이 쓸 수 있게 되어, 그때부터 모의고사를 보았습니다.
5. 연구반 교재 1, 2, 3권 모두 한번씩은 수강한 상태에서 1권을 다시 들을 때 3권을 같이 외웠습니다. 보통 하루에 10~15문제 정도 진도 나가시는데, 일주일 동안 이 10~15문제 쓰면서 외우고, 다 봤다 싶으면 3권 외워서 적고, 2권 다시 들을 때는 1권 다시 외우고, 이런 식으로 반복했습니다. 반복하면 눈으로 확인한 후에 적어보는 시간이 줄어들어 반복 횟수가 많아졌습니다.
6. 스터디 모임은 별도로 안했습니다. 대학생 때부터 필답형 문제의 경우는 수업 듣고 이해가 되었다면 혼자 공부하는 방식으로 해서,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스터디는 하지 않고 혼자 공부했습니다.
7. 시험 일주일 전
350개 중 꼭 나오겠다 싶은 주제 60개 정도 정해서 일주일 동안 한번씩 다 적어보고 들어갔습니다. 암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들은 자주 봐서 적는 시간을 줄여서, 최대한 많이 적어보고 시험에 들어가려고 노력했습니다.
(암기하여 적는 데 오래 걸리는 문제 예: 2권 저압간선케이블 규격 선정 시 고려사항 / 1권 spot network / 3권 감전보호대책 등등)
이런 문제들은 다른 것들보다 자주 봐서, 암기해서 적는 시간을 줄였습니다.
8. 수업 수강 시
문제를 암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해를 바탕으로 외우는 것이 암기가 쉽습니다. 그냥 외우라고 하면 못 외우겠는데, 조성환 교수님 수업 듣고 이해가 된 상태에서 외우면 잘 외워졌습니다. 이해가 안 되면 질문 많이 하시면 좋을 듯...
✏️면접
1. 필기와 다를 것 없이 연구반 교재 1, 2, 3권 보았습니다.
2. 면접 기출문제라고 받아 본 것들이 다 연구반 교재에 있는 것 같아서 그냥 연구반 교재를 보았습니다.
3. 단, 적으면서 보지 않고 눈으로만 보았습니다. 눈으로만 보고 말로 중얼거리면서 면접 공부하니 두 번째 면접 준비하는 2달 동안 1, 2, 3권 3번은 본 듯 합니다. 물론 교재 전체를 다 본 건 아니고, 면접 나올 듯한 문제들만 봤습니다.
4. 경력입력카드에서 질문의 30%는 물어본 것 같습니다. (잘 적어야 할 듯합니다.)
5. 면접은 말해보는 것이 중요해서 스터디를 하려고 했는데, 코로나 때문에 만나기가 어려워 조성환 교수님과 전화로 면접 준비했습니다.
6. 123회 면접 불합격(55점)
긴장해서인지 너무 단답형으로 대답했습니다. LCC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라는 질문에 Life Cycle Cost입니다. 라고 대답하고 끝났습니다. 사실 그 외에 교재에 있는 내용 다 알고 있었는데...
7. 124회 면접 합격(65점)
운이 좋았는지... 제가 알고 있는 내용에 대해 질문이 들어왔고, 답변도 단답식으로 하지 않고 아는 내용은 다 말하고 나왔습니다.
✏️끝으로...
힘들고 지치더라도 다른 사람들도 다 똑같으니 조금만 더 힘을 내자, 라는 마음으로 공부해서 여기까지 온 것 같습니다. 운도 어느 정도 따른 것 같고요!
다들 조금만 더 힘내시고 원하는 결과 얻으시길 기원합니다!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엄*하